[출근길 인터뷰] 반미 외치던 이란 국민들 반정부 시위…배경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란 테헤란에선 반정부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위대가 가장 분노하는 건 이란 정부와 군부의 거짓말인데요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여객기를 미사일로 격추하고도 처음엔 기계적 결함이라고 거짓말 한 게 부끄럽고 비겁하단 겁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이란 군부 실세 가셈 솔레이마니 제거를 계기로 '반미'로 결집했던 이란 민심이 이란 정부의 우크라이나 여객기 격추 인정 이후 자국 정부를 비난하는 분위기로 돌아서는 모습인데요.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박현도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를 만나 중동의 현재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 나와 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 박현도 교수와 알아봅니다. 이야기 나눠봅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요즘 중동사태가 심상치 않은데 특히 이란에서 반미 시위에서 반정부시위로 바뀌고 있다. 가장 큰 이유가 어디에 있습니까?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<br />최근에 우리 언론에도 많이 보도된 우크라이나 민항기 격추 사건 때문에 그러는데요. 처음 이 사건이 나왔을 때는 기체 이상이라는 의견이 많이 있었습니다. 그리고 그렇게 흘러가는 줄 알았는데 서구에서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기체 이상이 아니라 격추설을 제기를 했고요. 그러면서 결국 이란 정부가 3~4일 만에 공식적으로 이란 혁명수비대가 미사일을 쐈다고 시인을 했거든요. 그런데 이 상황을 두고 이란 국민들이 분노를 하고 있는 거죠. 왜냐하면 정부가 외국이 얘기하지 않았다면 그냥 덮고 가는 거 아니었냐. 그리고 비행기에서 죽은 사람들의 대다수가 이란 사람들이거든요. 그래서 특히 학생들이 같이 공부하던 친구들을 추모를 하다가 그게 반정부 시위로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금 전 들어온 소식을 보니까 이란에서 이 격추에 가담했던 주도했던 사람들을 잡았다, 체포했다 이런 얘기가 듣는데 이런 이야기로 시위가 가라앉을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<br />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 왜냐하면 그건 너무나 국민들 생각하기에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할 것 같고요. 다만 지금 최근에 다시 불거지는 문제가 정부의 발표와는 달리 뉴욕타임즈가 미사일이 2대가 발사가 됐다는 얘기를 하고 있거든요. 그리고 정부가 발표하는 게 많이 다른 부분들이 있다라는 소문들도 많고요. 이러한 것들을 이란 정부가 확실하게 잠재우지 않는다면 민심의 동요가 계속 일어날 것이고 정부의 신뢰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위가 쉽게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에 이런 중동사태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미국에서 공격했던 부분인데. 이것도 이것 또 내에서 맞느냐 틀리느냐 여러 가지 얘기가 있습니다. 이거 어떻게 봐야 될까요.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<br />솔레이마니 죽음에 대해서 상당히 많은 얘기가 있었는데요. 가장 최근 믿을 만한 보도라든지 정보에 따르면 12월 31일날 이라크에서 이라크 시민들과 민병대 대원들이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고 포위하는 소동이 있었거든요. 그때 미국에서 이 모든 것의 뒤에 솔레이마니가 있다고 믿었고요. 이때 제거하지 않으면 나중에 굉장히 위험하다라는 결정을 굳힌 것 같아요. 그러면서 바로 솔레이마니를 이틀 후에 바그다드 공항에서 이어지거든요. 그래서 좀 더 시간 지나 봐야 알겠지만 현재는 이라크에서 일어나는 미군의 안정과 미국의 시설에 대한 보호를, 보호의 책임을 솔레이마니에게 모든 것을 다 지금 돌린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그리고 그러고 난 다음에 미국이 국민들에게 발표한 거는 거기까지는 다른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궁극적인 이유는 바로 미국민의 안전과 미국 시설의 안전에 솔레이마니가 상당히 위협스러운 인물이 된다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제거한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결과적으로 중동정세가 안정화되려면 이란과 미국과 이란 간의 대화가 있어야 되는데 이게 좀 가능할까요.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<br />미국은 현재 굉장히 부드러운 자세로 조건 없는 대화가 열려 있다고 공개적으로 하고 있고요. 그런데 이란에서 항상 두 가지 조건을 내보이고 있습니다. 미국이 일방적으로 나간 핵합의를 다시 돌아와라 그리고 제재를 해지하라 이 두 가지가 되지 않으면 협상 테이블에 앉지 않겠다라는 입장인데요. 또 지금 이란으로서는 쉽게 미국의 의견에 따를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지금 계속적으로 유럽에서 이란에 압박을 넣고 있습니다. 이란에 압박을 넣으면서 이란이 핵제재를 잘 지켜라라고 얘기를 하고 있거든요. 그런데 이란으로서는 이게 상당히 불쾌하죠. 왜냐하면 핵합의를 깨고 나간 게 누구인데 지금 우리한테 이러냐 이런 입장이라서 과연 이 두 쪽이 이런 입장 차이를 좁힐 수 있다면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분위기는 좋은 분위기에서 다소 격앙된 분위기로 가고 있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끝으로 한 가지만 더 질문을 드리면 결과적으로 이란과 미국, 미국과 이란이 대화에서 어떤 해결책을 내지 못하면 우리한테 계속 요구하고 있는 미국에서 요구하고 있는 호르무즈 파병은 어떻게 해야 되느냐 여기에 대한 또 궁금증이 생깁니다.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<br />사실은 정부가 잘 알아서 하겠지만 저는 그냥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좀 정부에게 부탁드리고 싶은 말이 있다면 우리 군이 미군과 함께 총을 이란에게 같이 함께 겨누고 있는 모습은 절대 좋지 않다. 우리 군에게도 좋지 않고. 한미동맹 굉장히 중요하다는 건 누구나 다 알고 있습니다. 그런데 우리가 지금 미국이 긴장 상태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거기에 이란에 총구를 대는 모습을 보인다면 향후 평화의 시대가 왔었을 때 우리와 이란 관계는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손상을 줄 것이다라고 생각합니다. 그리고 중동에 나가 있는 우리 교민들에게도 굉장히 위험한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 정부가 신중하게 잘 판단해 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바쁘신데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<br /><br />[박현도 / 명지대 중동문제연구소 교수]<br />...